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구려 안시성 전투: 이름 없는 영웅들이 쓴 위대한 승리

고구려 안시성 전투: 이름 없는 영웅들이 쓴 위대한 승리


"이것은 단순한 전투가 아니었다. 멸망의 위기 앞에서 고구려가 토해낸 마지막 포효였으며, 한민족 불굴의 정신을 온 세상에 알린  위대한 승리였다."

여러분, 안시성 전투를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교과서나 역사 드라마에서 잠시 언급되곤 하지만, 실제 이 전투는 고구려 역사상  가장 치열하고도 상징적인 승리로 평가받습니다. 오늘은 고구려의 기개와 민초의 힘, 그리고 이름 없는 영웅들의 드라마가 펼쳐진 안시성 전투의 현장으로 여러분을 안내합니다.


⬥ 왜 안시성 전투였나? 위기의 고구려와 대제국의 야욕

645년, 당 태종 이세민이 직접 이끄는 30만 대군이 고구려를 침공하면서 안시성 전투가 시작되었습니다. 당나라가 중원을 통일한 후, 동북아 패권을 완전히 장악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대규모 원정이었죠.

당시 상황을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고구려-당나라 갈등 심화: 고구려는 요동 방어선을 강화하고, 돌궐·백제·신라 등과 외교로 당을 견제했습니다. 특히 연개소문이 정변으로 정권을 잡으면서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 당 태종의 동아시아 패권 야욕: 당 태종은 과거 수나라가 고구려 원정에 실패한 전철을 밟지 않으려 했고, 고구려를 굴복시켜  진정한 ‘천하의 지배자’가 되려 했습니다.
  • 고구려 내부 혼란: 영류왕 시기 친당파와 대당 강경파(연개소문)의 갈등이 격화되었고, 영류왕이 시해당하며 정치적 혼란이    극심했습니다.

결국 당 태종은 연개소문의 정변을 빌미 삼아 고구려 침공을 결정합니다. 당군은 육로와 수로 양방향에서 30만 대군을 동원하여    요동성을 시작으로 개모성, 백암성 등 요동 일대 요새를 차례로 점령했고, 고구려는 국가적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고구려 안시성 전투의 현장 묘사한 이미지

❖ 안시성, 마지막 보루가 되다: "성주는 누구인가?" 교과서에 없는 이야기

안시성(安市城)은 요동성 동남쪽,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요동성 등 주요 거점이 함락되자, 당 태종은 안시성을 평양 으로 진격하는 관문으로 삼아 포위·공격을 감행합니다.

치열했던 전투의 경과는 이렇습니다.

  • 88일간의 치열한 공방: 당군은 투석기, 운제(이동식 공성탑), 충차 등 다양한 공성 병기를 동원하고, 심지어 성벽보다 높은 토산(흙산)을 쌓아 공격했습니다.
  • 고구려의 저항: 안시성 수비군은 밤낮없이 성을 지키고, 당군이 쌓은 토산을 역이용하는 기지를 발휘하는 등 끈질기게 저항했습니다.
  • 결국 당군 퇴각: 당군은 지쳐 물러나고, 고구려는 기적적으로 안시성을 지켜냅니다.

여기서 한 가지 궁금증이 생깁니다. 과연 안시성을 지켜낸 그 영웅적인 성주는 누구였을까요?

정사(삼국사기·구당서·신당서 등)에는 '안시성 성주(安市城主)'라는 표현만 남아있고, 실제 이름은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조선 후기 소설 『연개소문전』에 '양만춘'이라는 인물이 등장하며, 후대 민간에서는 안시성 성주가 양만춘이라는 영웅적 인물로 받아들여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양만춘이라는 실존 인물을 입증할 수 있는 사료나 유물은 없습니다. 즉, 양만춘은 대중의 영웅상 창출의 산물로    보는 것이 다수 학계의 견해입니다.

결론적으로, 안시성 전투의 진정한 의미는 이름 없는 영웅, 무명의 성주와 안시성 백성들의 용맹과 단결이야말로 진정한 승리의     원동력이었다는 점에 있습니다.


✦ 고구려의 지혜와 용맹: 견벽청야와 살수대첩의 전통

고구려가 안시성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요인은 복합적입니다.

  • 견벽청야(堅壁淸野) 전략: 성벽을 굳게 지키며 주변 곡식과 식량을 미리 거둬들여 당군이 현지 보급을 받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이는 장기전으로 당군의 병참과 사기를 소진시키는 효과적인 전략이었습니다.
  • 살수대첩의 교훈: 수나라와의 전쟁(살수대첩)에서 얻은 경험을 활용, 적을 유인하고 지치게 한뒤 기습하는 고구려 전통 전술을 반복 적용했습니다.
  • 백성들의 결속: 성주와 군사뿐 아니라, 백성들이 남녀노소 없이 수비에 참여했습니다. 식량 절약, 보급 지원, 성벽 보수 등 온   공동체의 힘이 하나로 모인 덕분입니다.

⬥ 안시성 전투의 의의와 오늘날의 교훈

✦ 위기 극복과 민초의 힘

안시성 전투는 압도적인 강적에 맞서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싸운 고구려인의 정신을 상징합니다. 성주와 백성들의 집단적 저항,     공동체 의식은 오늘날에도 큰 시사점을 줍니다.

✦ 지략의 승리

고구려는 뛰어난 전략과 견고한 결속으로 당나라의 공세를 막아냈습니다. 이는 무모한 힘 대결이 아닌, 창의적이고 지혜로운 대응이 위기를 극복하는 열쇠임을 보여줍니다.

✦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지만…

안시성 전투는 이름 없는 수많은 이들의 희생과 노력, 즉 ‘민초의 승리’가 역사의 방향을 바꿀 수 있음을 증명한 사건입니다.


❖ 관련 장소와 남은 유적

안시성 유적지는 현재 중국 랴오닝성 하이청시에 위치해 있어 방문은 제한적입니다.

하지만 국내 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역사문화관 등)에서는 당시의 유물과 전시를 통해 간접 체험이 가능합니다.

고구려의 기상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토기, 무기, 벽화, 고분 등이 대표적인 유물입니다.


⬥ 안시성 전투, 우리의 오늘을 비추다

지금 우리가 마주한 각자의 '안시성'은 무엇인가요?

때로는 압도적인 난관 앞에서 좌절할 수 있지만, 포기하지 않고 공동체의 힘과 지혜를 모은다면, 우리 역시 새로운 승리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안시성 전투는 고구려의 빛나는 승리이자 우리 민족의 불굴의 정신을 증명한 사건입니다. 이름 없는 이들의 용기와 헌신, 그리고    집단적 지혜는 오늘날에도 변치 않는 울림을 줍니다.

"역사는 영웅만이 아닌, 평범한 사람들의 용기와 지혜로 쓰여진다."

 

다음 시간에도 더 흥미롭고 의미있는 인물과 사건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역사와 함께 오늘도 의미있는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공무원 9급 국가직 2019년]
다음 사건이 발생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 살수대첩 ㉡ 안시성 전투 ㉢ 나당연합군의 평양성 공격 ㉣ 수 양제의 고구려 침입
① ㉣ - ㉠ - ㉡ - ㉢  ② ㉠ - ㉣ - ㉡ - ㉢  ③ ㉠ - ㉡ - ㉢ - ㉣  ④ ㉡ - ㉠ - ㉣ - ㉢
① ㉣ - ㉠ - ㉡ - ㉢
[한능검 고급 38회]
다음 설명하는 전투에 해당하는 것은?
“당 태종이 이끄는 30만 대군의 공격에 맞서 고구려 군민이 한마음으로 80여 일 동안 성을 지키며, 결국 당군의 퇴각을 이끌어낸 이 전투는?”
① 살수대첩 ② 안시성 전투 ③ 황산벌 전투 ④ 한산도 대첩
② 안시성 전투
[대학수학능력시험 2013년 6월 모의평가]
고구려의 대외 항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수나라의 침입을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막았다.
② 당나라의 침입을 안시성 성주가 막았다.
③ 나당연합군에 의해 평양성이 함락되었다.
④ 백제가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했다.
② 당나라의 침입을 안시성 성주가 막았다.
[공무원 7급 서울시 2018년]
다음 전투 중 안시성 전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당 태종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침공하였다.
② 고구려의 성주와 백성들이 힘을 모아 수개월간 성을 방어하였다.
③ 이 전투의 결과 당나라의 군대는 후퇴하였다.
④ 고구려가 안시성 전투 이후 곧바로 멸망하였다.
④ 고구려가 안시성 전투 이후 곧바로 멸망하였다.
[한능검 심화 55회]
안시성 전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① 을지문덕이 지휘하여 승리한 전투이다.
② 수나라의 침입에 맞서 승리한 전투이다.
③ 당 태종이 직접 침공에 나서 실패한 전투이다.
④ 신라와 연합하여 방어한 전투이다.
③ 당 태종이 직접 침공에 나서 실패한 전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