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칠숙‧석품의 난: 신라 선덕여왕을 위협한 암살 시도

칠숙‧석품의 난: 신라 선덕여왕을 위협한 암살 시도

안녕하세요, ‘인물과 사건으로 보는 한국사’ 전문 블로거입니다!

오늘은 교과서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는, 그러나 신라사에서 결코 놓칠 수 없는 숨겨진 이야기, 바로 칠숙‧석품의 난—신라 최초의 여왕인 선덕여왕을 위협했던 반란 사건을 소개합니다.


❖ 신라 최초의 여왕, 선덕여왕의 즉위와 사회 분위기

632년, 진평왕이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난 뒤, 그의 딸 덕만공주(선덕여왕)가 신라 제27대 왕으로 즉위합니다.

하지만 당시 신라는 남성 성골이 왕위를 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강했습니다. 여성이 통치자가 된 전례가 없었던 만큼, 사회 곳곳에서 불만과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그럼에도 선덕여왕은 뛰어난 지혜와 결단력으로 불교 진흥,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등 국정 안정에 힘썼습니다. 그러나 외부로는 백제와 고구려의 위협, 내부로는 왕권 도전을 받아야 했습니다.


❖ 칠숙‧석품의 난: 발생과 진압

✦ 사건 개요

‘칠숙‧석품의 난’은 647년(선덕여왕 16년), 이찬(二餐) 칠숙아찬(阿餐) 석품이 중심이 되어 선덕여왕 폐위를 꾀한 반란입니다.

✦ 사건 전개

『삼국사기』 <선덕여왕 본기>에는 “정월, 이찬 칠숙과 아찬 석품 등이 여왕을 폐위하려 하였다.”고 간략한 기록만 남아 있습니다.

이들은 여왕의 통치력과 정치적 정당성에 불만을 품고 쿠데타를 시도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반란은 김유신 등 충신들의 신속한 대응으로 곧 진압되었고, 칠숙 등 주모자들은 처형되었습니다.

신라 최초의 여왕, 선덕여왕의 즉위와 사회 분위기

✦ 칠숙과 석품, 그리고 비담

이 사건과 거의 같은 시기, 신라 최대의 반란으로 꼽히는 비담‧염종의 난(647년)이 일어났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칠숙‧석품의 난이 비담의 난과 연계된 소규모 사전반란이거나, 한 맥락의 사건일 수 있다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삼국사기』『삼국유사』에 명확히 구분되어 기록된 점, 주도 세력이 다르다는 점 등에서 별개의 사건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기록의 한계와 야사(野史)

칠숙‧석품의 난에 대한 공식 기록은 짧고, 칠숙과 석품의 신분이나 구체적 동기에 대한 설명도 부족합니다. 이에 후대에는 비담‧염종의 난과 칠숙‧석품의 난을 하나로 보거나, 관련된 야사·설화가 전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사건 모두 선덕여왕의 통치력, 그리고 여성 리더십에 대한 도전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 칠숙‧석품의 난의 의미와 교훈

이 사건은 신라 최초의 여왕 통치가 당시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음을 보여줍니다. 칠숙‧석품의 난, 비담‧염종의 난 모두 “여성 군주는 나라를 다스릴 수 없다”는 편견에서 비롯된 정치적 저항의 일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선덕여왕은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며, 김유신 등 충신들과 함께 신라 중흥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이는 강력한 리더십과 위기 극복 능력, 그리고 주변 인물들과의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 관련 유적과 역사적 현장

비록 칠숙‧석품의 난 자체와 직결된 유적지는 없으나,

  • 경주 선덕여왕릉
  • 황룡사지
  • 분황사 모전석탑

등 선덕여왕의 업적을 기리는 장소는 오늘날까지 전해집니다. 이런 곳들을 직접 방문해 본다면, 선덕여왕 시대의 역동성과 그녀가 겪었던 위기의 현장을 상상하며 역사를 더욱 생생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 맺음말

칠숙‧석품의 난은 비록 짧은 기록에 불과하지만, 신라 중대의 권력 투쟁과 여성 군주의 리더십, 그리고 당시 사회의 변화상을 깊이 있게 보여줍니다.

이처럼 교과서에 잘 드러나지 않는 작은 사건 하나에도 당대 사회의 긴장과 역동, 그리고 주인공들의 고뇌가 담겨 있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 앞으로도 더 많은 역사 속 인물과 숨겨진 사건으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