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사38

조선의 왈패, 상단주, 암행어사 — 지금 우리 사회의 그림자 본문 바로가기조선 후기의 왈패, 상단주, 암행어사 이야기는 오늘날 범죄조직, 재벌, 내부 고발자와 겹칩니다. 권력·돈·정의가 충돌하는 모습은 시대를 넘어 반복되고 있죠.사실 이번 글도 드라마 〈탁류〉에서 출발했습니다. 그동안 블로그에서 여러 편에 걸쳐 의 장면을 단서 삼아 조선 사회를 들여다봤는데요. 오늘은 그 연장선에서, 조선의 왈패(폭력 집단), 상단주(거상), 그리고 암행어사(정의 구현자)를 살펴보려 합니다.조선의 왈패, 그때도 건달이 있었다경강 상인과 상단주, 돈으로 세상을 움직이다암행어사, 정의의 얼굴결국 남는 건 같은 질문조선의 왈패, 그때도 건달이 있었다왈패. 생소한 단어지만, 쉽게 말하면 조선 시대의 조직폭력배쯤 됩니다. 시장이나 나루터에서 무리를 이루고 상인·백성을 괴롭히며 돈을 챙겼죠... 2025. 9. 21.
드라마 『탁류』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치안과 민생의 실상 본문 바로가기조선 후기 경강을 배경으로 한 디즈니+ 사극 『탁류』는 치안 기구의 한계, 조운 제도의 붕괴, 도고와 경강상인의 상업 독점 문제를 생생히 드러내며 오늘날 유통 독과점과 민생 불안의 역사적 맥락을 함께 비춰 줍니다.왈패와 검계, 그리고 치안 기구의 한계조운 제도의 흔들림과 민생의 추락도고와 경강상인, 상업 질서의 균열오늘의 시사점왈패와 검계, 그리고 치안 기구의 한계드라마 속 시율·무덕 같은 왈패(왈도패거리)는 허구가 아니라 실제 역사에서 확인되는 존재입니다. 이들은 한양 번화가와 한강 나루 주변에서 서민과 상인을 괴롭히며, 때로는 권력과 결탁해 이권을 챙겼습니다. 또한 조선 후기에는 검계(劍契) 같은 무장 결사 조직도 활발히 활동했습니다. 『정조실록』(1793년 4월조)와 『승정원일기』는 검.. 2025. 9. 19.
난파선 위에서 빛난 경강상인 김세만의 기업가 정신 본문 바로가기 경강상인 김세만은 난파 사고 속에서도 곡식 100석을 공동체에 내어주며 사회적 책임을 실천했습니다.그의 선택은 단순한 장사꾼이 아닌 위기를 기회로 바꾼 기업가 정신의 상징이었습니다.난파 속에서 피어난 선택기록으로 남은 선택위기를 기회로 바꾸다또 다른 길, 제주 김만덕오늘의 시사점요즘 드라마를 보면 종종 경강상인이 등장합니다.포구를 장악하고, 권세가와 맞서 싸우며, 한양의 상권을 흔드는 모습이죠. 2025년 9월 26일 공개 예정인 디즈니+ 드라마 도 혼탁한 세상 속에서 운명을 개척하는 경강상인의 이야기를 다룬다고 합니다. 그런데 혹시 이렇게 생각하지 않으셨나요?이거, 드라마니까 저렇게 과장한 거 아니야? 아닙니다. 실제 역사 속 경강상인들은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 같은 삶을 살았습니다.그중.. 2025. 9. 17.
연산군과 광대, 그리고 창작된 인물 공길 연산군과 광대 공길, 그는 실존했을까? 《연산군일기》 속 단 한 줄 기록과 영화·드라마 속 창작 캐릭터의 차이를 통해 향락 정치의 교훈을 살펴봅니다.영화 속 공길, 사 속 실존?혹시 영화 〈왕의 남자〉 보신 분 계신가요?또 요즘 뜨거운 인기 드라마 〈폭군의 셰프〉를 보고 계신다면, 자연스레 떠오르는 인물이 있을 겁니다.바로 연산군 곁에서 노래하고 춤추던 광대 공길이죠.섬세한 외모, 뛰어난 재능, 왕의 총애까지. 그런데,여기서 잠깐!《연산군일기》를 아무리 뒤져봐도 공길이라는 이름은 단 한 번 등장합니다.정말 놀랍지 않나요? 그 기록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연산군일기》 속 공길연산군일기 11년 12월 29일(1505년)원문 (한자본) “優人 孔吉, 作老儒戲曰: ‘殿下爲 堯、舜 之君, 我爲 皋陶 之臣。 堯、舜.. 2025. 9. 15.
폭군 연산군의 ‘엔터테인먼트’ 사랑, 주지육림의 현장 본문 바로가기목차사건(인물) 개요발생 배경과 시대 상황전개 과정사료 기록야사·이설과 그 진위결과와 의의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이야기오늘날의 의미관련 장소·유적·기념관 소개마무리사건 요약 비교표사건 연표독자 참여 코너폭군 연산군의 ‘엔터테인먼트’ 사랑, 주지육림의 현장사건(인물) 개요연산군(1476~1506, 재위 1494~1506)은 조선의 제10대 왕으로, 역사상 가장 파격적인 군주로 손꼽힙니다.그의 통치는 화려한 향락과 무분별한 정치 탄압으로 점철되어 있으며, 궁궐을 하나의 거대한 유흥장으로 바꾸어 버린 인물입니다. 흔히 ‘흥청망청’이라는 말이 여기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그의 이미지는 오늘날까지도 뚜렷합니다.발생 배경과 시대 상황성종 사후, 어린 나이에 즉위한 연산군은 태생적 불안감을 안고 있었습니다... 2025. 9. 11.
사림과 훈구의 격돌, 연산군 시대의 서막 /> 사림과 훈구의 격돌, 연산군 시대의 서막훈구와 사림, 두 산맥의 충돌조선 전기의 정치 무대에는 두 개의 거대한 산맥이 있었습니다. 바로 훈구파와 사림파입니다. 훈구는 말 그대로 “공훈 있는 신하들”. 세조가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를 때 공을 세운 무리들이었죠. 이들은 권력을 쥐고 막대한 토지를 차지하며, 왕실과 혼인 관계로 얽히면서 기득권의 철옹성을 쌓았습니다. → 비유하자면, 재벌가와 정치를 함께 잡은 구세대 엘리트 집단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사림은 숲속에 은둔한 선비들. 지방에서 학문을 닦던 신진 세력으로, 성리학적 도덕과 이상 정치를 내세웠습니다. → “원칙은 목숨처럼 지켜야 한다”는 젊은 개혁파, 요즘식으로 말하면 “청년 정치인+스타트업” 같은 이미지였죠. 두 집단은 처음부터 권력의.. 2025.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