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려사

왕실의 권력 투쟁 이자겸, 고려를 흔들다

by solutionadmin 2025. 8. 8.

왕실의 권력 투쟁 이자겸, 고려를 흔들다

안녕하세요! ‘인물과 사건으로 보는 한국사’ 블로그 지기입니다.

오늘은 고려 시대를 뒤흔든 권력 암투, 바로 이자겸의 난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혹시 사극에서 왕실 외척이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는 장면을 본 적 있으신가요? 실제 고려 역사에는 외척의 힘이 하늘을 찌를 듯했던 시기가 있었고, 그 정점에 선 인물이 바로 이자겸입니다. 무려 두 명의 왕에게 딸을 시집보내고, 심지어 손녀마저 왕비로 만들어 전무후무한 권력을 손에 넣었죠. 이 글에서는 이자겸의 끝없는 야망이 어떻게 왕실과 사회 전체에 충격파를 주었는지 쉽고 재미있게 풀어보겠습니다.

⬥ 왕권을 위협한 외척의 야망

이자겸(李資謙, 1067~1126)은 고려 최고의 명문가인 경원 이씨(인주 이씨) 가문의 수장이었습니다. 이 가문은 문종부터 예종과 인종에 이르기까지 무려 80년간 10명의 왕비를 배출하며 고려 왕실과 굳건한 혼인 관계를 통해 최고 권력을 유지했습니다.

✦ 가족 관계를 통한 권력 독점

이자겸은 예종의 장인이자 인종의 외할아버지였습니다. 그는 자신의 딸 두 명을 예종에게 시집보내 왕실과 연결된 후, 예종이 죽고 인종이 즉위하자 또 다른 딸들을 인종의 왕비로 들였습니다. 한 사람이 두 명의 왕에게 딸을 시집보내고, 심지어 손녀까지 왕비로 삼으려 한 것은 유례없는 일이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인척 관계를 넘어 왕권 자체를 통제하려는 야심을 드러낸 것입니다.

궁궐을 장악한 이자겸과 주요인물 상상 미미지

⬥ 이자겸의 난, 그 서막과 전개

이자겸이 전례 없는 권력을 장악하자, 젊은 인종과 그를 따르는 신진 관료들은 위기를 느꼈습니다. 그들은 이자겸을 제거하고 왕권을 되찾기 위한 반격을 준비합니다.

✦ 사건의 발단

1126년, 인종은 이자겸의 세력을 약화시키고자 내시와 환관을 동원해 이자겸과 그의 측근들을 제거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이 계획은 발각되었고, 이자겸은 군부 실력자인 척준경과 함께 반격에 나섰습니다.

✦ 궁궐 내 격돌과 권력의 덧없음

이자겸과 척준경은 군사를 동원하여 궁궐을 장악했습니다. 이자겸은 인종을 폐위시키려 했으나, 척준경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인종은 명목상 왕의 자리를 지켰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이자겸에게 넘어갔습니다. 그러나 곧 이자겸과 척준경의 관계는 틀어졌고, 인종은 척준경을 설득해 이자겸을 공격하게 합니다. 결국 이자겸은 유배되어 몰락하게 되었고, 이는 권력 다툼의 허망함을 보여주는 토사구팽(兎死狗烹)의 대표적인 예가 되었습니다.

⬥ 이자겸의 최후, 그리고 야사

❖ 역사와 전설, 그 사이의 이야기

공식 기록에 따르면 이자겸은 전라남도 영광으로 유배되어 병사했습니다. 그러나 야사에는 ‘이자겸이 임금에게 바친 굴비가 영광 굴비의 유래’라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이는 역사적 사실과는 다르지만, 한때 권세를 누렸던 외척의 쓸쓸한 말로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전설로 남아 있습니다.

⬥ 백성에게 남긴 상처와 변화

이자겸의 난은 궁궐 내 권력 다툼이었지만, 전투와 화재로 궁궐이 불타고 국정 운영이 마비되면서 백성들의 삶은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하지만 이 난 이후 인종은 왕권을 재정비하고 신진 관료를 등용, 과거제 개혁, 경연(經筵) 활성화 등을 통해 통치 기반을 강화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뒤이은 묘청의 난, 무신정변 등 더 큰 역사적 흐름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

이자겸의 난은 권력 독점이 얼마나 위험한지,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이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보여주는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권력의 분산과 견제가 왜 중요한지, 특권의식이 어떻게 사회를 병들게 하는지를 오늘날에도 시사하고 있습니다. 끝없는 권력욕과 오만은 결국 자멸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역사적 교훈을 남긴 것입니다.

❖ 독자 참여 코너

이자겸의 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만약 여러분이 인종이었다면 이자겸의 권력에 어떻게 맞서 싸웠을까요?

자유롭게 댓글로 남겨주세요!

오늘 글은 어떠셨나요?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또 다른 인물과 사건으로 찾아뵙겠습니다.

① [2023 지방직 9급] 다음 사건이 일어난 배경으로 옳은 것은?
- 이자겸은 외척으로서 왕실과 혼인 관계를 통해 권력을 강화하였으며, 인종 대에 두 차례나 난을 일으켜 궁궐을 장악하였다.

  • 1. 무신들의 군사 권력 강화
  • 2. 신진 유학자들의 개혁 추진
  • 3. 문벌 귀족 간의 권력 다툼
  • 4. 지방 호족의 중앙 진출
✅ 정답: 3. 문벌 귀족 간의 권력 다툼

② [한능검 고급 50회] 고려 인종 시기의 정치 상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1.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하여 문신을 탄압하였다.
  • 2. 이자겸이 외척으로서 왕권을 위협하였다.
  • 3. 신돈이 개혁 정치를 주도하였다.
  • 4. 공민왕이 권문세족을 제거하였다.
✅ 정답: 2. 이자겸이 외척으로서 왕권을 위협하였다.

③ [2021 수능 한국사] 다음 중 고려 전기 문벌 귀족 사회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1. 과전법을 통해 토지를 재분배하였다.
  • 2. 무신정변으로 정권을 장악하였다.
  • 3. 음서와 공음전을 통해 권력을 세습하였다.
  • 4. 홍건적의 침입으로 중앙 관제가 붕괴되었다.
✅ 정답: 3. 음서와 공음전을 통해 권력을 세습하였다.

④ [2019 국가직 9급] 다음 인물의 활동으로 적절한 것은?
- 고려 인종 대 외척으로서 권세를 휘두르다 반란을 일으켰으나 결국 척준경에게 축출되었다.

  • 1. 이자겸 - 경전 정리, 성리학 보급
  • 2. 이자겸 - 척준경과 함께 반정 주도
  • 3. 이자겸 - 척준경과 함께 반란을 일으킴
  • 4. 이자겸 - 무신정권의 실권 장악
✅ 정답: 3. 이자겸 - 척준경과 함께 반란을 일으킴

⑤ [한능검 고급 49회] 다음 사건 이후 고려 사회에 나타난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이자겸이 왕실 권력을 장악한 뒤 척준경에 의해 축출되었다.

  • 1. 경연이 활성화되고 왕권 강화 정책이 추진되었다.
  • 2. 사심관 제도가 폐지되었다.
  • 3. 무신 정권이 들어섰다.
  • 4. 전시과가 폐지되었다.
✅ 정답: 1. 경연이 활성화되고 왕권 강화 정책이 추진되었다.